본문 바로가기

구상중인 새 책35

이 소원만 이룰 수 있다면 내 영혼까지 팔 텐데 "강 노무사, 소원이 뭐야?" "소원?" "죽기 전에 꼭 해보고 싶은 거 없어?" "있어" "뭔데?" "연애소설, 다수의 마음을 촉촉하게 할 수 있는 연애소설 한 편을 꼭 써보고 싶어" ​ 며칠 전, 모 지인과의 대화. ​ 정말 이 #소원만 이룰 수 있다면 내 영혼까지 팔 것이다~~~ 2022. 4. 20.
아무리 괴로워도 이 목표 달성 전에는 죽을 수 없다 혼자 사니 몸이 아플 때가 가장 고민스럽다. ​ ​ 차라리 죽어버리면 이런 걱정 모두가 사라질 텐데.... ​ ​ 그래도 지금 #집필 중인 책은 무슨 수가 있어도 출간해야 한다. ​ ​ 나란 존재가 이 은하계에 존재했다는 또 다른 증거가 될 것이다. ​ ​ 출판이 이뤄지는 그날이 오면 당장 죽어도 소원이 없으련만~~~ 2022. 4. 15.
연애소설 집필에 내가 목숨 거는 이유 #유튜브에서 유명 외국가수들의 노래를 검색하다보면 흥미로운 점이 눈에 띈다.​ ​ 아직 유명세를 타지 못한 단계에서의 노래가 가장 듣기 좋다는 점이 그것이다.​ ​ 성공에 대한 강한 갈망, 당시 현실에서 벗어나고픈 의지 등이 선율에 완연히 배어있다.​ ​ 모 유명 영화배우도 그랬다. 돈이 절실히 필요할 때 가장 좋은 연기가 나온다고.​ ​ 한때 연애편지 대필을 좀 했었다. 내 젊은 시절에는 아직 it기기가 활성화되기 전이라 편지가 주된 마음의 전달도구였는데 내가 써준 편지가 은근히 효과 있다고 소문이 나서 밥이나 술의 대가로 써주곤 했다.​ ​ 나 역시 뜨거운 연애를 해보고 싶었지만 타고난 얼굴기형(구순구개열=언청이) 탓에 번번이 좌절을 했고 이렇게 분출되지 못한 욕구가 편지에 스며든 덕에 상대의 마음이.. 2022. 3. 29.
연애소설 한 편만 쓸 수 있다면 당장 죽어도 좋은데 로 유명한 미시마 유키오나 의 저자 레이몬드 챈들러 같은 유명 작가 상당수도 말했다.​ ​ 글로 먹고 살 거라면 당장 팔리지 않더라도 매일 일정 분량을 쓰는 연습을 규칙적으로 써야 한다고.​ ​ 이 연습에 블로그 만큼 좋은 수단이 또 있을까.​ ​ 길이 남을 #연애소설 한 편만 쓸 수 있다면 당장 죽어도 여한이 없는데....​ 2022. 3. 28.
이곳에 쓰는 글과 출판을 목적으로 한 글의 근본 차이 블로그 등 #인터넷에 재미로 쓰는 글은 양이 많더라도 무척이나 쉽게 쓰여진다.​ ​ 요즘 책을 또 하나 쓰려고 대충 목차와 뼈대는 다 잡았다. 워낙 목차를 세세히 잡았기에 살만 조금 덧붙이면 되는데 이건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오며 한 줄, 한 줄이 천근만근이다.​ ​ 아무리 재미나는 일도 직업이 되면 싫어질 수밖에 없다는 모 나이 든 사장의 말이 새삼 생각난다.​ 2022. 3. 26.
출판 전 지나친 퇴고는 정신병만 부른다 #퇴고하며 지나치게 집착을 하면 절대 출판은 될 수 없다. 엄청 대단한 책도 아니니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자. 그렇지 않아도 나쁜 머리로 더 고민하다가는 결국 정신병자 된다~~~ 2022. 3. 23.
퇴고를 다 하고 났는데 도리어 후회가 크다면? 시간이 지나고 나서 보니 애써 #퇴고한 원고보다 오리지널 원고가 더 자연스럽고 매력적으로 보인다. 내가 미친 걸까. 2022. 2. 7.
지나친 퇴고는 원작의 향기를 죽일지도 모른다 애초에 답이라 생각한 것을 고쳤는데 오히려 #오답인 경우가 왕왕 있다.​ ​ 기존에 쓴 글을 퇴고하다보면 이와 유사한 생각이 든다.​ ​ 혹시 지금 되레 글을 망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.​ ​ 번역이 원작을 훼손하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퇴고를 통해 원작의 향기가 사라진다면 이보다 더 바보짓도 없을 텐데....​ ​ 세련됨과 이지 리딩을 너무 추구하다 본질을 잃을까 매우 두렵다.​ 2022. 1. 28.
표절을 피하기 위한 각주를 달다가 느낀 엄청난 당혹감 #출판을 위한 원고의 마지막 각주 작업을 하고 있다.​ ​ 다른 책에서 가져온 내용이라 생각해서 각주를 달려고 한 부분이 있는데 ​ 막상 그 책을 찾아보니 그런 내용이 없다.​ ​ 무척이나 당황스럽다.​ ​ 혹시 내가 독창적으로 생각해낸 부분인가?​ ​ 비록 실무서지만 표절 소리 듣기가 죽기보다 싫기에 각주에 특히 더 신경 쓰는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하나?​ ​ "하도 오래 전에 메모한 내용이라 필자의 독창적인 생각인지 다른 매체에서 본 내용인지 기억이 가물거린다. 필자의 독창적인 생각이 아닌 경우에 대비하여 이렇게라도 처리한다"​ ​ 위와 같은 방식으로라도 각주를 달아야 할듯하다. 2022. 1. 17.
퇴고를 마치고 나니 뼈다귀 해장국이 부른다!!! 머리는 여전히 아프지만 그냥 저냥 오늘 일과 오늘 분량의 퇴고를 다 마쳤다. 밥 먹으러 가자. #뼈다귀 해장국이 나를 부르고 있다~~~~ 2021. 12. 18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