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법조인이 아니면 이 건은 언급 마세요"
아까 낮에 어떤 회의에 #외부인 자격으로 참가했다.
나를 포함한 각 분야의 자격사들과 교수, 회사 임원, 프리랜서 등이 모 협회의 위탁을 받고 이 협회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회의다.
한창 진행 중에 법률 이야기가 나왔고 특정 법조문의 해석여부를 둘러싸고 의견이 나뉘었는데 모 자격사가 전술한 말을 아주 당당히 한다.
순간 남극보다 더 차가워진 실내 분위기.
상식에 부합하는 발언인가?
쌍팔년도도 아니고 법에 대해선 법조인만 발언할 자격이 있나?
일반인도 열심히 공부하면 법조인보다 얼마든지 더 잘 알 수 있는 것 아닌가?
난 노무사라 노동법을 좀 알지만 나보다 더 지식 많은 일반인이 충분히 있을 수 있기에 모든 발언을 경청부터 한다.
동석한 교수, 임원 등의 얼굴색이 새파래지는 걸 본 이 협회 관계자가 서둘러 봉합에 나선다.
이 발언을 한 자격사에게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 된다며 엄히 경고를 줬고 이 자격사는 고개를 떨구고 사과했다.
인터넷을 통해 누구나 쉽게 지식에 접근하는 이 마당에 합리적 근거는 안 보인 채, 기존 자격에만 기대어 행사하려는 권위가 먹힐 것 같은가!!!!
'기타법(법조계 일반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판검사 출신들이 죽어도 사과 안 하는 이유 (0) | 2022.11.02 |
---|---|
별도의 법인에 대한 처벌과 판검사들의 허울 뿐인 독립성 (0) | 2022.10.27 |
로스쿨의 유일한 효과: 젊은 금수저의 법조계 점령 (0) | 2022.09.04 |
내가 가장 존경하는 변호사의 전형 (0) | 2022.09.04 |
행정행위의 무효와 취소의 구분은 죽어도 이해가 안 가네 (0) | 2022.08.26 |
댓글